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서는 Mobile TV(모바일 TV)라고 하는 것보다는 DMB라는 용어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Mobile TV라는 것은 모바일 기기(핸드폰, 전용 핸드핼드 단말기, PDA, PMP 등)에서 디지털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디지털 TV와 다른점은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작은 화면 320X240 (QVGA) 사이즈 이하의 TV 화면을 재생한다는 점이다.
모바일 TV의 표준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4개 정도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와 유럽 노키아 주도의 DVB-H, 일본 주도의 ISDB-T(1-seg), 미국 퀄컴 주도의 MediaFLO 등이다.
우리나라 DMB 기술은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이 되는데, 각각 T-DMB (Terrestrial DMB)와 S-DMB(Satellite DMB)이다. 위성 DMB는 위성을 통해 방송전파가 송출되기 때문에 전국을 커버한다. 또한 월정액을 내는 유료 방송이다. 반면 T-DMB는 지상 방송국에서 보내진 전파를 몇몇 송신타워에서 송출하여 지역적인 커버리지가 다르며, 현재 서울 경기 일원에서는 본방송을 지방 대도시에서는 시험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현재 국내 T-DMB는 무료이다.
특히 T-DMB의 경우 방송수신자가 어떤 비용도 방송 제공측에 비용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서, 위성에 비해 많은 사용자들을 모으고 있다. 반면 방송사측은 수익성 악화라는 불만을 계속 내놓고 있지만, 광고나 기타 데이터 서비스 판매로 수익을 보전할 방법을 찾고 있다. 데이터 서비스의 대표적인 것은 바로 교통정보제공 서비스인 TPEG을 들 수 있다.
T-DMB 단말기는 작년과 올해들어 급격한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크게 핸드폰과 핸드폰이 아닌 수신기로 크게 구분이 되고 있다. 즉, 2-way(양방향, 핸드폰 네트워크)와 1-way(단방향, 방송 네트워크)로 구분이 된다.
핸드폰 단말의 경우 방송 수신칩과 일부 멀티미디어 작업으로 제한된 동작이 되는 시장이어서 일반 업체들이 뛰어들기엔 어려운 시장이다.
반면, 1-way 단말기는 PMP나 네비게이션, 전용 포켓 TV, MP4P, USB 동글 타입 등의 형태로 공급되며, 대부분 전문업체의 DMB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모바일 TV는 양방향이 가능하므로 여러가지 Interactive 서비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핸드폰을 이용한 모바일 TV 양방향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편, 1-way 단말기의 경우 다양한 기기들에 컨버전스되어 시중에 나오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PMP와 네비게이션에 장착된 DMB이다. 올해 4분기에 지방 대도시에도 DMB 방송이 정식 송출될 것으로 예정되어 올해와 내년에 집중적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TV는 일반 아날로그 TV와 달리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이라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방송 콘텐츠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한 예로, 집에서 보는 디지털 방송의 경우 방송프로그램가이드(EPG)를 통해서 방송 순서나 방송 제목 내용 등의 내용을 TV를 통해 볼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방송과 함께 송출하고 이를 TV 수신기가 해석하여 보여주는 원리이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TV의 경우도 EPG를 지원하여, 현재 보는 방송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받아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 당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T-DMB 모바일 TV는 같은 주파수 대역으로 TV뿐만 아니라 라디오를 청취할 수도 있는데, 이를 DAB(Digital Audio Broadcast)라고 하여 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가능하다.
라디오 방송이 나오면서 소리와 별도로 자막 제공이 가능하며, 정지영상인 JPEG 등도 같이 수신 받을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데이터 방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이라고 불리는 수신제한시스템 역시 데이터 방송의 하나의 처리 과정이다. CAS는 유료 방송의 경우 인증된 단말기에서만 방송수신 신호를 해석하여 제대로 된 영상과 사운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이다. 인증이 안된 단말기에서는 방송을 볼 수 없도록 제한하는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유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그 외에도 BWS(Broadcast Website Service)는 DMB 방송 중에 웹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하는데, 1-way 단말기의 경우 단순히 방송국측에서 송출하는 정보를 받아서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등의 서비스 역시 데이터 방송으로 가능한 서비스이다.
여러가지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바로 모바일 TV의 장점이다. 다만, 1-way는 단순히 방송수신만 가능한 단말기 형태여서 진정한 양방향 데이터방송을 소화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그래도 교통정보 송출의 TPEG 방송은 해당 방송을 수신하면서 교통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보여주는 등, 1-way라 하더라도 방송을 통한 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다.
문제는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 DMB 모듈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부족하여 반쪽서비스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단순히 안테나를 통한 방송수신기능만 있어서 방송데이터만 처리하여 영상과 오디오만 처리해주는 수신 모듈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디지털 방송과 모바일 TV 최대의 장점인 데이터 방송이 아닌, 단순히 아날로그 TV처럼 수신만 되는 바보상자로 만드는 길이다.
모듈공급업체들은 TPEG나 EPG 등이 차후에 서비스가 제공되면 그때 업데이트해 준다는 약속은 하지만, 실제 그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회사가 몇 개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모듈 개발업체들은 수신율과 저가경쟁에만 뛰어들고 있어서 모바일 TV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단순히 DMB 수신기의 경우 방송만 수신되어 처리된다면 아날로그 TV와 크게 다를바 없다. 그러나 똑똑한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수신기(모듈)들이 나온다면 진정한 모바일 TV의 진수를 맛 볼 수 있다.
특히, T-DMB뿐만 아니라 DVB-H와 ISDB-T 등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미들웨어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며,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능력이 모바일 TV 수신기의 선택기준이 된다. 향후 다양하게 제공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준비가 필요하게 된다.
향후, 모바일 TV를 선택할땐 데이터 서비스 처리 능력이 있는지 알아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앞으로 시장에 나오는 모바일 TV 솔루션들은 데이터 처리 능력을 표시하여 제공할 것이다. 어떤 서비스는 제공되며, 어떤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모바일 TV의 데이터 처리 기술은 바보상자 TV를 정말 유용한 '정보의 창'으로 만들어 주는 마술과도 같은 존재이다.
Mobile TV라는 것은 모바일 기기(핸드폰, 전용 핸드핼드 단말기, PDA, PMP 등)에서 디지털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디지털 TV와 다른점은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작은 화면 320X240 (QVGA) 사이즈 이하의 TV 화면을 재생한다는 점이다.
모바일 TV의 표준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4개 정도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와 유럽 노키아 주도의 DVB-H, 일본 주도의 ISDB-T(1-seg), 미국 퀄컴 주도의 MediaFLO 등이다.
우리나라 DMB 기술은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이 되는데, 각각 T-DMB (Terrestrial DMB)와 S-DMB(Satellite DMB)이다. 위성 DMB는 위성을 통해 방송전파가 송출되기 때문에 전국을 커버한다. 또한 월정액을 내는 유료 방송이다. 반면 T-DMB는 지상 방송국에서 보내진 전파를 몇몇 송신타워에서 송출하여 지역적인 커버리지가 다르며, 현재 서울 경기 일원에서는 본방송을 지방 대도시에서는 시험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현재 국내 T-DMB는 무료이다.
특히 T-DMB의 경우 방송수신자가 어떤 비용도 방송 제공측에 비용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서, 위성에 비해 많은 사용자들을 모으고 있다. 반면 방송사측은 수익성 악화라는 불만을 계속 내놓고 있지만, 광고나 기타 데이터 서비스 판매로 수익을 보전할 방법을 찾고 있다. 데이터 서비스의 대표적인 것은 바로 교통정보제공 서비스인 TPEG을 들 수 있다.
T-DMB 단말기는 작년과 올해들어 급격한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크게 핸드폰과 핸드폰이 아닌 수신기로 크게 구분이 되고 있다. 즉, 2-way(양방향, 핸드폰 네트워크)와 1-way(단방향, 방송 네트워크)로 구분이 된다.
핸드폰 단말의 경우 방송 수신칩과 일부 멀티미디어 작업으로 제한된 동작이 되는 시장이어서 일반 업체들이 뛰어들기엔 어려운 시장이다.
반면, 1-way 단말기는 PMP나 네비게이션, 전용 포켓 TV, MP4P, USB 동글 타입 등의 형태로 공급되며, 대부분 전문업체의 DMB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이시스 T-DMB 수신기 모듈)
모바일 TV는 양방향이 가능하므로 여러가지 Interactive 서비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핸드폰을 이용한 모바일 TV 양방향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편, 1-way 단말기의 경우 다양한 기기들에 컨버전스되어 시중에 나오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PMP와 네비게이션에 장착된 DMB이다. 올해 4분기에 지방 대도시에도 DMB 방송이 정식 송출될 것으로 예정되어 올해와 내년에 집중적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TV는 일반 아날로그 TV와 달리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이라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방송 콘텐츠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한 예로, 집에서 보는 디지털 방송의 경우 방송프로그램가이드(EPG)를 통해서 방송 순서나 방송 제목 내용 등의 내용을 TV를 통해 볼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방송과 함께 송출하고 이를 TV 수신기가 해석하여 보여주는 원리이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TV의 경우도 EPG를 지원하여, 현재 보는 방송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받아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 당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T-DMB 모바일 TV는 같은 주파수 대역으로 TV뿐만 아니라 라디오를 청취할 수도 있는데, 이를 DAB(Digital Audio Broadcast)라고 하여 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가능하다.
(디지털 라디오 DAB)
라디오 방송이 나오면서 소리와 별도로 자막 제공이 가능하며, 정지영상인 JPEG 등도 같이 수신 받을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데이터 방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이라고 불리는 수신제한시스템 역시 데이터 방송의 하나의 처리 과정이다. CAS는 유료 방송의 경우 인증된 단말기에서만 방송수신 신호를 해석하여 제대로 된 영상과 사운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이다. 인증이 안된 단말기에서는 방송을 볼 수 없도록 제한하는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유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그 외에도 BWS(Broadcast Website Service)는 DMB 방송 중에 웹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하는데, 1-way 단말기의 경우 단순히 방송국측에서 송출하는 정보를 받아서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등의 서비스 역시 데이터 방송으로 가능한 서비스이다.
여러가지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바로 모바일 TV의 장점이다. 다만, 1-way는 단순히 방송수신만 가능한 단말기 형태여서 진정한 양방향 데이터방송을 소화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그래도 교통정보 송출의 TPEG 방송은 해당 방송을 수신하면서 교통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보여주는 등, 1-way라 하더라도 방송을 통한 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다.
문제는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 DMB 모듈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부족하여 반쪽서비스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단순히 안테나를 통한 방송수신기능만 있어서 방송데이터만 처리하여 영상과 오디오만 처리해주는 수신 모듈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디지털 방송과 모바일 TV 최대의 장점인 데이터 방송이 아닌, 단순히 아날로그 TV처럼 수신만 되는 바보상자로 만드는 길이다.
모듈공급업체들은 TPEG나 EPG 등이 차후에 서비스가 제공되면 그때 업데이트해 준다는 약속은 하지만, 실제 그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회사가 몇 개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모듈 개발업체들은 수신율과 저가경쟁에만 뛰어들고 있어서 모바일 TV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단순히 DMB 수신기의 경우 방송만 수신되어 처리된다면 아날로그 TV와 크게 다를바 없다. 그러나 똑똑한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수신기(모듈)들이 나온다면 진정한 모바일 TV의 진수를 맛 볼 수 있다.
특히, T-DMB뿐만 아니라 DVB-H와 ISDB-T 등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미들웨어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며,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능력이 모바일 TV 수신기의 선택기준이 된다. 향후 다양하게 제공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준비가 필요하게 된다.
향후, 모바일 TV를 선택할땐 데이터 서비스 처리 능력이 있는지 알아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앞으로 시장에 나오는 모바일 TV 솔루션들은 데이터 처리 능력을 표시하여 제공할 것이다. 어떤 서비스는 제공되며, 어떤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모바일 TV의 데이터 처리 기술은 바보상자 TV를 정말 유용한 '정보의 창'으로 만들어 주는 마술과도 같은 존재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