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육신과 박팽년, 묘골 순천박씨 집성촌

1453년 계유정난으로 단종의 삼촌인 세조(수양대군)가 조카를 왕위에서 몰아내고 왕이 되기 위해 황보인, 김종서 등을 죽이고 이를 통해 1455년 왕위를 찬탈하여 조선 7대 왕에 오르게 된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1년 뒤인 세조2년 1456년 단종을 호위하라던 선왕(先王) 세종과 문종의 교지를 받들던 일부 문무관 신하들이 단종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죽임을 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때 당시 죽은 여섯 명의 충신을 사육신(死六臣)이라 부르는데,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의 여섯 신하들이다. 무관이었던 유응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집현전 학자들이었다. 유응부와 성삼문의 아버지 성응이 세조를 죽이려던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면서 죽임을 당했다.

530여년이나 지난 지난 1984년, 국사편찬위원회는 이들 여섯 신하와 함께 당시 이 일로 죽임을 당한 문신 백촌 김문기를 사육신에 포함시켰다. 그렇게 따진다면 실제로는 사칠신(死七臣)이 되어야 하나, 그는 당시 이개와 함께 단종복위 사건으로 처형을 당했으나 사육신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김문기는 혼자 처형 당하고 가족들이 화를 당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사육신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단종복위는 모의단계에서 적발되었지만, 이는 왕을 몰아내려는 중대한 반역행위로 취급되어, 엄한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중죄에 해당되었다. 보통 왕권에 도전한 역적행위는 삼족(三族)을 멸하는 엄벌로 다스린다. 역적에게는 가장 큰 형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삼족을 멸하라는 형벌은 엄청난 죄에 내려지는 가혹한 형벌이다. 삼족이라 함은 당사자(본인과 형제)의 윗대(아버지)와 아랫대(자식)의 남자는 모두 처형하고 여자는 노비로 부리는 가혹한 형벌이다. 한마디로 가문의 명맥이 끊어지는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하는 것이다.

사육신의 부모와 자식들은 모두 삼족을 멸하는 형벌을 받았는데, 남자들은 모두 죽임을 당했고, 처첩과 자녀들중 여자들은 모반을 막은 공신들의 노비나 관아의 관노비로 보내졌다.

특히 사대부 집안의 여자들은 치욕적인 노비로 전락하여 위신과 명예를 중요시하는 그들에게는 죽음이나 다름 없었다. 삼족을 멸하라는 형벌은 사실상 그 가족의 씨(후손)를 말리는 엄청한 일이었다.

박팽년 영정 - 국가표준영정 제81호


그 중 박팽년의 둘째 며느리(둘째 아들 박순의 처)인 성주 이씨 부인은 화를 당하던 당시 임신해 있었고, 나중에 친정이 있는 현재 달성군에 내려와서 아이를 낳게 되는데(대구 관아의 관노로 오게 되었다고 한다), 왕명에 의해 사내아이면 죽임을 당하고 여자아이면 다시 노비로 부리게 되어 있었다.

마침 아이를 낳을 때 친정집안의 노비가 딸을 낳아 서로를 바꾸어 길러 화를 면하게 되었다. 만일 아들이라고 알려지면 바로 죽임을 당할 상황이었기 때문에, 낳은 사내아이를 종의 아들로 둔갑시키고 이씨부인은 종의 딸아이를 맡아 길렀다. 그렇게 해서 박팽년의 손자는 간신히 살아남게 되었다.

박팽년의 손자는 이씨부인의 친정집에서 노비라는 뜻의 이름인 '비(婢)'자를 붙여 '박비(朴婢)'로 불렸다. 나중에 사면되고 나서 9대 성종으로부터 '박일산(朴一珊)'이라는 이름을 얻게된다. 이렇게 하여 박팽년 집안은 다시 대를 이을 수 있게 되었다.

'일산(一珊)'이라는 이름에도 깊은 뜻이 숨어 있다. '산(珊)'은 '산호 산'자이기도 하지만 다른 뜻으로 '외롭다'라는 뜻도 있다. 따라서 '일산'이라는 이름은 집안에서 유일하게 남은 외로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풀이될 수 있다.

성종 때인 박일산이 17살 때 외가(이모부 이극균, 당시 경상도 관찰사)의 권유로 조정에 자수했다. 이미 세조가 죽은 뒤였고, 사육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면이 있어 성종은 그에게 사면을 해주었다. 그러면서 박일산은 현재 달성군 하빈면 묘골(행정지명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정착하여 살게 된다.

묘골 마을 입구 충절문


묘골은 지리적으로 하빈면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산으로 둘러쌓여있고 바로 서쪽 방향으로는 낙동강이 흐르는 곳이다. 마을 뒤쪽 낮은 산언저리 육각정에 오르면 뒤쪽으로 낙동강이 바로 보이고 앞으로는 마을 전체와 멀리까지 보인다.

묘골은 외부에서는 안이 잘 안보이고 안쪽에서는 바깥이 잘 보이는 구조로 당시 어떤 화를 입을지 모르는 박일산의 은거지로서 안성맞춤이었다. 묘골을 직접 찾아가보면 정말 숨겨진 마을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당시 가족도 재산도 없던 박일산이 묘골에 정착하여 99칸 종택(순천 박씨 충정공파)을 짓고 살 수 있었던 것은 외가쪽 성주 이씨일가 덕분이라고 한다. 이씨일가의 후손이 없는 종친의 재산을 물려받아 오늘의 묘골 순천 박씨 집성촌이 들어설 수 있었다고 한다.

그 후 후손들은 묘골에서 터를 잡고 살았고, 후손들은 선친인 박팽년 제사를 이곳에서 지냈다. 그러나 현손(玄孫, 박팽년의 고손, 박일산의 손자)인 박계창이 선친 박팽년의 제사를 지낸 후 잠이 들었다가 꿈에 사육신 다섯분이 문 밖에서 서성이는 것을 보고는 나머지 분들도 함께 위패를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박팽년을 제외한 나머지 집안은 이미 손이 끊긴 상태여서, 누구라도 제사를 모셔줄 후손이 없던 것을 안타깝게 여겨 후손인 박계창 때부터 같이 위패를 모시고 향사를 지내게 되었다.[각주:1]

서울 노량진의 사육신묘

서울 노량진(노량진동 185-2번지)에는 사육신묘가 있는데, 이곳은 당시 사육신들이 처형당한 뒤 시신이 버려진 한강변 새남터(현 새남터 기념성당 부지, 용산구 이촌동 소재)의 바로 한강 맞은 편이다.

당시 역적으로 처형을 당하면 시신을 따로 매장하면 안되고 그냥 버리게 되어 있는데, 생육신(生六臣)인 매월당 김시습이 사육신 4명의 시신을 수습하여 강건너 노량진 지역에 가매장하였다. 그 후 성삼문의 사위 박임경이 사육신을 다시 제대로 매장하며 사람들 눈에 띄지않게 관리했다고 한다.

성삼문, 박팽년, 유응부, 이개는 불에 달군 쇠로 몸을 지지는 단근질 고문을 받고 죽었고, 하위지는 참수를 당했으며, 유성원은 집에서 부인과 함께 자결했다. 당시 역적의 시신을 수습하여 매장하는 것도 엄벌에 처했기 때문에 노량진 한강변에 매장된 후 이들의 묘가 잘 드러나지 않도록 해야 했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묘에는 공(公)자를 붙이고 여자의 묘에는 씨(氏)자를 붙이게 되어 있는데, 사육신임을 표시하지 않으려고 이들 묘에 성씨지묘, 박씨지묘, 유씨지묘, 이씨지묘 등으로 표석을 만들어 놨다고 한다. 나중에 성삼문의 아버지인 무관 성승의 묘도 함께 이곳에 만들어졌다.

숙종 때인 1679년에 비로소 이들 사육신에 대한 완전한 사면과 복권이 이뤄졌고, 숙종의 명으로 이곳을 육신묘로 지정하여 서원을 지었다. 근대로 들어서 박정희 정권때 1978년 사육신묘 성역화 사업이 추진되면서 하위지, 유성원의 가묘(가짜 묘)가 추봉되어 오늘날의 사육신묘로 이어지게 되었다.

노량진에 있는 사육신 역사공원


성역화 사업 과정에서 당시 사육신과 함께 고문 당하면서 죽었던 김문기의 묘도 함께 추봉되어 사육신에 추가되었는데, 1978년 국사편찬위원회의 결정에 따른 것이었다. 사육신 추봉은 김문기의 후손인 당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압력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아직도 이 부분은 논란이 되고 있으나 학계에서는 다른 사육신들과 달리 김문기의 자손들은 당시 화를 입지않고 대를 이어 지금도 생존해 있기 때문에 사육신으로 포함시키지 않는 것 같다.

이러한 이유로 사육신에 대한 유적은 노량진의 사육신묘(사육신 역사공원으로 조성)와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의 육신사 두 곳이다. 사육신묘는 실제 사육신 중 네분의 묘가 있는 곳이고, 육신사는 박팽년의 후손이 세운 향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달성군 하빈면 묘리의 육신사

박팽년의 후손들이 지은 사당은 처음부터 육신사가 아니었다. 처음엔 '절의묘'라고 지어 제사를 지내다가 다시 '하빈사'를 세워 모시다가 숙종 때 '낙빈서원'을 지어 봉안했고, 고종 때 대원군에 의한 서원철폐령으로 오랫동안 제사가 중단되었다가, 1974년 정부의 충효위인 유적화 사업에 의해 지금의 육신사로 남게 되었다.

육신사의 입구 외삼문


이곳 육신사에는 당시 유적화 사업을 했던 박정희 대통령의 현판 글씨와 기념석이 있고, 최규하 대통령의 기념석도 있다. 그 옆에 박팽년의 18대 후손이며 9선 국회의원에 세 번이나 국회의장을 지낸 박준규씨의 기념석도 함께 있다. 박준규씨는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사당 옆에는 생가터 표지석이 있다.

달성군 하빈면의 육신사는 요즘 공사로 한창 바쁘다. 조선시대 정자인 태고정과 육신사를 중심으로 종가가 있는 이곳에 새로운 한옥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또 마을 입구엔 사육신 기념관이 개관을 앞두고 마무리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사육신 기념관은 6월 중순부터 일반에 무료 공개된다.

태고정(太古亭, 보물 제 554호)은 1479년 성종 10년에 박일산이 지었고 임진왜란때 소실되었다가 1614년 광해군6년에 새로 지어진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양식의 목조건물이다. 이곳을 중심으로 대구시와 달성군은 2003년부터 문화관광지를 만들기 위해 마을을 한옥촌으로 개축하고 관련 시설을 정비하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012345


대구시와 달성군은 국비, 시비, 군비를 합해 약 180억원의 비용을 들여 이곳 약 20 가구의 한옥을 개축하고, 기념관 건립, 문화체험관, 전통놀이마당 등을 만들고 있는데, 이 사업은 2011년 마무리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태고정의 현판은 한석봉의 글씨이며, 육신사 입구의 '六臣祠' 현판은 박정희 대통령의 글씨다. 전통적인 현판의 글씨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데, 박대통령이 쓴 현판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도록 써놨다.

육신사 유적 자체는 태고정과 도곡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근대에 만들어진 것이어서 유적으로서의 큰 의미는 없는 것 같다. 다만 사육신과 관련된 역사적인 의미를 짚어보고, 관련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것으로 아주 중요하다. 특히 서울 노량진에 사육신묘가 있는데 왜 대구에 사육신을 모시는 사당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것은 관련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육신사 입구 왼쪽에 문화해설사가 있는 시설이 있으며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관련된 이야기들을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단순히 볼거리로서는 부족한 면이 많지만, 사육신과 관련된 역사나 충절에 대한 부분은 교육적인 가치나 역사적인 가치는 충분하다.

이야기가 있는 유적지 방문은 유적지를 찾는 사람을 즐겁게 한다. 단순히 사진 몇 장 찍거나 옛 건축물을 살펴보는 수준이 아니라, 이곳의 이야기를 통해 그 옛날 있었던 역사 속으로 들어간다면 방문의 의미는 충분할 것이다.

신축 사육신 기념관


마을 입구에 거의 완성된 사육신 기념관은 이곳 육신사를 보다 잘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시된 유물은 많지 않지만 적어도 사육신과 관련된 역사를 이해하는데는 모자람이 없을 것이다.[각주:2]

육신사가 있는 묘골의 자연 풍경도 아주 뛰어나다. 순천 박씨 충정공파 종택이 있는 한옥마을이라는 조건과 마을을 둘러싼 낮은 산과 육신사 마당의 잔디밭과 연못, 고택은 자라는 아이들에게도 좋은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사육신기념관 내부


앞으로 달성군과 종친회에서 이곳을 어떻게 운영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대구 인근의 사람들이 찾아서 우리의 한옥문화와 역사를 알아갈 수 있는 좋은 장소로 만들어 줬으면 한다.

복잡하지도 않고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괜찮은 유적지라고 생각되어 소개한다. 토요일, 일요일 아이들 데리고 찾아볼만한 곳이다. 단, 미리 사육신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간다면 아이들에게 좋은 교육을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것이다.

육신사 : 대구광역시 달서구 하빈면 묘리 638번지, 문의 (053) 586-4672

* 자가용으로 간다면 대구 성서와 달성군 죽곡 방향에서 성주방향으로 가다가 육신사 표지를 따라 오른쪽 하빈면(왜관 방향)으로 빠져 따라가면 나온다. 첫번째 삼거리(동곡삼거리)에서 우회전, 계속 가다가 다리가 있는 삼거리에서 좌회전(다리를 건넌다) 하여 가다보면 충절문이라는 큰 건축물이 보이는 곳이 묘골 마을 입구다. 버스는 지하철 2호선 종점인 문양역에서 성주방향 성서2번을 타면 묘골마을 입구까지 간다. 또 왜관방면 907번 버스도 묘골 마을을 지나간다.

* 육신사는 둘째 아이의 탐방숙제를 하러 찾았다. 친절한 문화해설사분을 만나 아빠인 내가 더 열심히 듣고 왔다. 포스팅의 상당 부분은 문화해설사가 설명해 준 부분에 궁금한 부분을 찾아서 쓴 것이다.
  1. 하위지의 조카들도 살아남아 대를 이었다고 전해지는데, 그 후에 대한 이야기가 알려진 바가 없다. [본문으로]
  2. 우연히 아직 개관전인 기념관을 들어가 살펴볼 수 있었다. 마무리공사가 한창중이었다. [본문으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