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반 기업이나 관공서, 대학 등이 중소 기업에서 만든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때 여러가지 면을 고려하지만, 대체적으로 제조사의 경영환경이나 재무상태에 관해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소프트웨어를 도입해도 짧으면 2~3년 길면 5년 정도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프사이클이 존재하기에, 그 기간 전에 제조사가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폐업을 한다면 도입사 입장에서 구입한 소프트웨어 운영에 차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종종 제품은 뛰어나지만 제조사의 임직원 숫자가 몇 명 되지 않아서, 회사의 규모가 작아서, 업력이 짧아서 도입을 망설이는 구매 담당자를 만날 수 있다.

이들에게 제조사의 제품 성능은 크게 관심이 없고, 제조사의 전년도 재무재표나 회사 소개 자료를 요구하거나 납품 증명을 요구하는 등의 제품 외적인 안전장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중소 소프트웨어 업체 제품 구매시 고려 사항
1. AS : 38.6%
2. 도산 등 기업신뢰 : 36.8%
3. 품질하자 : 21.2%
(한국전산업협동조합 조사자료)

사실 이런 요구가 단순한 기우에 그치지는 않는다. 왜냐면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 제조사들의 생존 기간이 짧으면 1~2년이고 길어도 10년을 넘겨 가면서 회사가 유지되는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를 현실적으로 바라보았을 때 총체적으로는 '유지보수 지원' 문제로 귀결된다.

납품 시는 당연히 기술지원을 하겠지만, 위급한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를 하려 했을 때, 제조사가 폐업을 한 상태라면 담당자 입장이 매우 곤란하고, 당장 해당 소프트웨어를 도입한 기관에 피해를 입히게 될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청과 한국전산업협동조합이 '공동AS센터'를 내년 초에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AS수행단을 만들어 3개 지역권으로 구분하여 AS를 수행하는 업무를 하겠다는 것이다.


중소 소프트웨어 제조사로서는 환영할만한 일이다. 중소 업체의 소프트웨어 보급에 큰 걸림돌인 기업의 신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공동 AS센터를 통해 발주를 하게 되면 해당 납품 소프트웨어의 소스를 임치하는 등의 장치도 함께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프심위)에도 존재하는 제도이다.

예전 메일 솔루션 영업을 할 때 어느 공공기관이 내게 이런 말을 했었다.
'제품은 좋으나 제조사가 언제 망할지 몰라소 도입을 망설이고 있다. 제품 납품시 보증의 의미로 제품 소스를 같이 제공하면 안되겠느냐?'라는 제안을 받았다.

물론 결국 납품을 하고 소스는 제공하지 않았지만, 중소 소프트웨어 제조사를 바라보는 입장이 어떤 지를 실감할 수 있었다.

중소 규모의 소프트웨어 제조사들이 자발적인 연합이 아니더라도 중기청이나 조합이 나서서 이런 공동 AS센터를 만들어 준다는 것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국가 기관과 관련 이익 단체가 나서서 실질적으로 중소 소프트웨어 제조사들을 지원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내년 초에 시작되는 센터의 활동상을 지켜봐야 알 수 있겠지만,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기원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