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마치 모든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나와야지만 관심받게될 것 같은 분위기다. 누가 뭐라해도 스마트폰 유행의 출발은 Apple의 iPhone 이다. iPhone 이전에도 스마트폰은 있었지만, 대부분 특정 계층(비즈니스맨, 얼리어뎁터)의 전유물이었다.

단말기 제조사가 만드는 스마트폰은 무엇을 노린 것일까?
이동통신사는 스마트폰을 어떻게 바라볼까?

스마트폰은 단말기 제조사나 이동통신사 모두에게 소비자를 유혹하기 좋은 아이템이다. 제조사와 이통사 모두에게 부가가치가 남는 장사를 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부가가치란 무엇인가? 결국 이익이다. 제조사와 이통사엔 기존 제품과 서비스보다 비싸게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조사는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비싸야 된다고 하고, 이통사는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데이터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돈은 누가 내는가? 바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몫이다.

'전세계적으로 iPhone이 잘 팔린다. 구글폰 대기 예약 구매건수가 상상 이상이다. 신형 BlackBerry를 기다리는 소비자가 많다' 외신들의 주요 기사내용들이다.

대부분 현란한 기능과 빠른 무선이동통신망의 장점만을 늘어놓을 뿐이다. 그 뒤에 약정 계약 금액은 강조하지 않는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장벽은 다름아닌 바로 요금제다.

손안에 PC(스마트폰)를 들고 다닌다는 상상은 즐겁다.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고, 이메일은 쉽게 보내고 받을 수 있으며, 필요할 땐 음악과 영화도 내려받을 수 있다. 친구와 메신저로 채팅이 가능하고, 심지어 TV도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이 가져다줄 즐거움은 편리함 이상이다.

하지만 요금은 생각해 보았는가? 음성통화를 위한 휴대폰의 기본요금 12,000원을 내고 10초에 18원의 요금을 내면서 한달에 적어도 2만원에서 5만원씩 내는 음성통화 생각하듯, 데이터 요금도 내가 감당할 수준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가?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데이터 서비스가 필수적이다. 버스에 앉아서 국보 1호가 무엇인지 검색하려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밖에 나가서 이메일 확인하고 찍은 사진 전송하려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데이터 서비스 가입않고 사용했다가는 다음달 몇 십만원 이상의 요금 고지서를 받을지도 모른다. (지금은 이용제한이 있어서 무선인터넷 사용이 중지된다고 한다)

스마트폰이 대세라는 것은 충분히 인정하고 또 그렇게 되리라 믿는다. 하지만, 현재의 요금제로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최소한 지금 통신요금보다 몇 만원은 더 지출해야 한다. 한번이 아니라 매달 지출해야 한다.

비싼 스마트폰 가격에 매달 몇 만원씩 더 내야만 이런 원더풀한 라이프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기꺼이 그런 즐거움과 편리함에 비용을 지불하겠다는 의사를 가진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iPhone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iPhone이 당장 국내에 들어오더라도 난 당장 구입하지 않을 것이다. 단말기 가격도 부담이 되겠지만, 미국이나 일본처럼 월 몇 만원의 정액 기본요금을 낼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참고로 미국 AT&T는 최소 월 60달러에서 100달러까지 요금제가 있다. iPhone을 사용하기 위한 요금제이다. 제한된 무료 음성통화와 SMS요금이 포함된 금액이다. 현재 1,300원 환율로 계산하면 월 78,000원에서 13만원의 요금을 매월 지불하면 원더풀 라이프를 경험할 수 있다.

이동통신사의 데이터 요금제가 파격적으로 떨어지지 않는 한 요금이 무서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엄두를 내지 못하겠다. 현재 내 휴대폰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모든 버튼은 패스워드를 걸어 두었다. 무심결에 버튼을 누르면 돈이 새어 나간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최근 스마트폰들은 3G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Wi-Fi 기능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물론 Wi-Fi와 3G 네트워크는 서로 보완관계라 말하지만, 이통사는 3G 네트워크 이용을 장려할 뿐이다.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구입하면서 Wi-Fi에 대한 기대를 많이 한다. 비싼 3G망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거의 무료에 가까운 회사나 집의 AP나 거리의 공개된 AP를 이용한 Wi-Fi 이용을 기대한다.

데이터 서비스의 편리함에 중독되면 Wi-Fi든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이든 가리지 않겠지만, 요금 청구서를 받아들면 생각은 많이 달라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합리적인 요금제가 나오지 않을 경우 iPhone을 비롯한 고가의 스마트폰들은 개인이 아닌 법인 사용자만 늘어날뿐 대중화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LGT의 OZ 요금이 비록 한시적이긴 하지만 월 6,000원에 무제한 제공한다는 시도는 신선했다고 본다. 이런 요금제가 있으면 스마트폰도 사용할만하다. 이것도 어디까지나 올해말까지 제공하는 한시적인 프로모션이다. 언제 바뀔지 모른다. 또 지원되는 폰도 한정적이다.

SKT, KTF의 데이터 요금제를 살펴보면, 외부에서 인터넷을 마음껏 쓰려면 최소 2만원 이상의 데이터 요금을 추가지불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의 데이터 요금제, KTF도 비슷한 수준에서 제공)
 
Wi-Fi를 지원하는 단말기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그 중에 휴대폰 단말기 형태의 제품들은 스마트폰이 압도적이다. 인터넷이 되는 단말기에 전화 기능이 된다면 편리하다.

휴대폰 안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없을테니 추가로 네트워크 지원 단말기를 하나 더 가지고 다니는 것보다 iPhone 같은 스마트폰이 하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스마트폰의 활성화 여부는 전적으로 이동통신사들의 요금제에 달려있다. 아무리 외산 스마트폰들이 국내에 진출한다 해도 이동통신사의 합리적인 요금제가 나오지 않는 이상 잠시동안의 유행으로 그칠 수 밖에 없다.

아니면 비싼 스마트폰을 그냥 평범한 단말기처럼 쓰는 수 밖에 없다.

스마트폰의 Wi-Fi도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긴하다. 현재 전국적인 커버리지가 가능한 유일한 상업망인 KT의 Nespot이다. 바로 KT의 Nespot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가치가 올라갈 것이다. 하지만 KT의 의지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KT의 Nespot 사용자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Nespot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스마트폰용 요금제와 CM(접속프로그램) 개발에 신경을 쓰면 이미 구축된 Nespot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KTF의 묵인이 있어야 가능하겠지만 말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료 Wi-Fi 서비스가 없다는 점도 스마트폰 보급의 걸림돌이기도 하다. 미국 AT&T의 경우 iPhone 유저들은 자사의 Hotspot에 무료로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있다. KTF도 그런 요금제가 있긴 하지만 제한적이다. KTF 고객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요금제를 만들었으면 좋겠다.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걱정스러운 것은 요금제이다. 비싼 단말기 가격을 치르고도 매월 꼬박꼬박 지금보다 많은 요금을 내면서 원더풀 라이프를 즐길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래서 나를 포함한 일부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은 비즈니스맨들에게 적합하고 일부의 얼리어뎁터들의 호기심만을 채워줄뿐 실생활에 널리 보급되기는 어렵다고들 생각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