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i-Fi Alliance(WFA)가 Wi-Fi 사이의 P2P(Peer to Peer)를 지원하는 새로운 규격 발표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새 규격의 이름은 'Wi-Fi Direct'로 프로젝트명은 'Wi-Fi peer-to-peer'였다.
현재 Wi-Fi는 IEEE의 802.11 표준아래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노트북, 휴대폰, 콘솔게임기, MP3, 카메라, 프린터 등 다양한 기기들에 사용되고 있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Wi-Fi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랜(WLAN)의 대표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Wi-Fi는 Access Point라는 접속점을 중심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각종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Wi-Fi는 네트워크 접속점이라 할 수 있는 AP로 접속하여야만 통신을 할 수 있는 구조다.
무선랜 기술에 대해 아는 사람은 이 기술이 Ad-hoc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할 것이다. Wi-Fi 기기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는 Ad-hoc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인 Ad-hoc(애드혹)이라는 방식은 근거리에 있는 노트북 Wi-Fi 끼리 단순 연결만 되는데만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된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방식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속도도 11Mbps로 제한되어 있다. Wi-Fi Direct는 현재의 802.11n의 속도 그대로를 지원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Ad-hoc 모드가 지원하지 못하는 무선보안 기술을 Wi-Fi Direct에는 지원하기에 기업용으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다. Wi-Fi Direct에는 최신 무선보안 기술인 WPA2와 WPS를 지원할 계획이다.
Wi-Fi Direct는 Ad-hoc을 넘어선 일종의 soft-AP 프로토콜이다. AP 기능처럼 Wi-Fi 기기 상호간 연결성이 한결 유연해진다는 의미다.
Wi-Fi Direct는 노트북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카메라 사이에, 카메라와 프린터 사이 등 특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고도 Wi-Fi Direct만 지원하면 서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AP를 거치지않고 기기가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Bluetooth와 기술의 개념이 비슷하다.
Wi-Fi와 Bluetooth만을 비교한다면 Wi-Fi는 비교적 원거리(수미터~ 수백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반면 Bluetooth는 통상 10m(Class 2) 이내의 근거리에서 지원용이다. 속도 역시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Wi-Fi가 빠르다. 802.11n은 이론상 300Mbps(실제 150Mbps 수준)까지 나오지만 Bluetooth는 3Mbps가 최대다.
Bluetooth는 저전력 소모를 자랑하기 때문에 오디오 전송이나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 무선 전송에 주로 사용되고, Wi-Fi는 인터넷 등 비교적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복잡한 프로토콜 사용 등에 용이하다는 차이점이 있어 현재는 서로 다른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가 급격하게 보급되면서 Wi-Fi 지원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노트북과 PDA 등 컴퓨팅 기기에만 내장되던 것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MP3P, 모바일 게임기, 가정용 콘솔게임기, 카메라, 프린터 등 일부 가전제품, 셋탑박스, 심지어 키보드, 마우스까지도 Wi-Fi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오고 있다.
Wi-Fi 기기들이 늘어나긴 했지만 대부분 이들 기기는 인터넷 연결만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Wi-Fi 내장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배려는 거의 없었다. 이런 시장에서는 대부분 저전력의 근거리 통신인 Bluetooth가 사용되었다.
Bluetooth는 Wi-Fi와 상관없이 기기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 인기를 끌면서 오디오 전송이나 휴대폰의 주소록이나 사진 전송, 모바일 게임기 상호 연결 등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콘텐츠 전송에만 사용되었다.
Wi-Fi Direct는 바로 Bluetooth의 한계로 지적된 거리와 속도 문제를 극복하면서 정면으로 파고들게 된다. 이렇게 되면 Bluetooth의 대체재로 Wi-Fi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기기 하나에 Wi-Fi와 Bluetooth 모두를 넣을 필요가 없어질지 모른다.
그러나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Bluetooth에 비해 원거리를 지원하고 더 빠른 속도를 지원해야 하므로 Wi-Fi의 전력 소모는 Bluetooth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는 점은 가장 큰 단점이다. 대부분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Wi-Fi의 전력소모는 민감한 이슈다.
또한 Bluetooth 진영도 올 4월에 버전 3.0 규격을 발표하면서 802.11표준 기반으로 들어가서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버전에는 현재 유니캐스트 방식에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환, QoS 개선 등을 약속했다.
Wi-Fi Alliance는 내년 중반까지 Wi-Fi Direct 규격을 확정하고 인증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미 Atheros의 Direct Connect, Intel의 My WiFi 등이 비슷한 기술을 내놓고 있으나 업계 표준은 아니다. Wi-Fi Direct가 표준이 될 경우 이들 두 회사의 기술은 표준에 상호 호환될 것으로 보고있다.
Wi-Fi Direc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Wi-Fi 부품들은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수적이다. 일부 구형 Wi-Fi 부품들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근래 출시된 기기들은 펌웨어 업데이트로 Wi-Fi Direct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Apple도 Wi-Fi Direct에 합의하고 iPhone과 iPod Touch 등에 이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Apple Insider를 통해 나왔다. 현재 Bluetooth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고 있지만 Wi-Fi로 단일화한다면 더 다양한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중반 이후 시장에서 선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는데, Wi-Fi Direct 제품이 나오면 모바일 기기 사이의 파일 전송이나 네트워크 기능이 한층 더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 사이에 Bluetooth도 어떠한 변신을 시도할지 지켜봐야할 것이다.
Wi-Fi Direct는 Bluetooth 진영에는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
현재 Wi-Fi는 IEEE의 802.11 표준아래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노트북, 휴대폰, 콘솔게임기, MP3, 카메라, 프린터 등 다양한 기기들에 사용되고 있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Wi-Fi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랜(WLAN)의 대표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Wi-Fi는 Access Point라는 접속점을 중심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각종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Wi-Fi는 네트워크 접속점이라 할 수 있는 AP로 접속하여야만 통신을 할 수 있는 구조다.
무선랜 기술에 대해 아는 사람은 이 기술이 Ad-hoc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할 것이다. Wi-Fi 기기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는 Ad-hoc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인 Ad-hoc(애드혹)이라는 방식은 근거리에 있는 노트북 Wi-Fi 끼리 단순 연결만 되는데만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된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방식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속도도 11Mbps로 제한되어 있다. Wi-Fi Direct는 현재의 802.11n의 속도 그대로를 지원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Ad-hoc 모드가 지원하지 못하는 무선보안 기술을 Wi-Fi Direct에는 지원하기에 기업용으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다. Wi-Fi Direct에는 최신 무선보안 기술인 WPA2와 WPS를 지원할 계획이다.
Wi-Fi Direct는 Ad-hoc을 넘어선 일종의 soft-AP 프로토콜이다. AP 기능처럼 Wi-Fi 기기 상호간 연결성이 한결 유연해진다는 의미다.
Wi-Fi Direct는 노트북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카메라 사이에, 카메라와 프린터 사이 등 특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고도 Wi-Fi Direct만 지원하면 서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AP를 거치지않고 기기가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Bluetooth와 기술의 개념이 비슷하다.
Wi-Fi와 Bluetooth만을 비교한다면 Wi-Fi는 비교적 원거리(수미터~ 수백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반면 Bluetooth는 통상 10m(Class 2) 이내의 근거리에서 지원용이다. 속도 역시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Wi-Fi가 빠르다. 802.11n은 이론상 300Mbps(실제 150Mbps 수준)까지 나오지만 Bluetooth는 3Mbps가 최대다.
Bluetooth는 저전력 소모를 자랑하기 때문에 오디오 전송이나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 무선 전송에 주로 사용되고, Wi-Fi는 인터넷 등 비교적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복잡한 프로토콜 사용 등에 용이하다는 차이점이 있어 현재는 서로 다른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가 급격하게 보급되면서 Wi-Fi 지원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노트북과 PDA 등 컴퓨팅 기기에만 내장되던 것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MP3P, 모바일 게임기, 가정용 콘솔게임기, 카메라, 프린터 등 일부 가전제품, 셋탑박스, 심지어 키보드, 마우스까지도 Wi-Fi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오고 있다.
Wi-Fi 기기들이 늘어나긴 했지만 대부분 이들 기기는 인터넷 연결만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Wi-Fi 내장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배려는 거의 없었다. 이런 시장에서는 대부분 저전력의 근거리 통신인 Bluetooth가 사용되었다.
Bluetooth는 Wi-Fi와 상관없이 기기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 인기를 끌면서 오디오 전송이나 휴대폰의 주소록이나 사진 전송, 모바일 게임기 상호 연결 등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콘텐츠 전송에만 사용되었다.
Wi-Fi Direct는 바로 Bluetooth의 한계로 지적된 거리와 속도 문제를 극복하면서 정면으로 파고들게 된다. 이렇게 되면 Bluetooth의 대체재로 Wi-Fi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기기 하나에 Wi-Fi와 Bluetooth 모두를 넣을 필요가 없어질지 모른다.
그러나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Bluetooth에 비해 원거리를 지원하고 더 빠른 속도를 지원해야 하므로 Wi-Fi의 전력 소모는 Bluetooth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는 점은 가장 큰 단점이다. 대부분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Wi-Fi의 전력소모는 민감한 이슈다.
또한 Bluetooth 진영도 올 4월에 버전 3.0 규격을 발표하면서 802.11표준 기반으로 들어가서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버전에는 현재 유니캐스트 방식에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환, QoS 개선 등을 약속했다.
Wi-Fi Alliance는 내년 중반까지 Wi-Fi Direct 규격을 확정하고 인증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미 Atheros의 Direct Connect, Intel의 My WiFi 등이 비슷한 기술을 내놓고 있으나 업계 표준은 아니다. Wi-Fi Direct가 표준이 될 경우 이들 두 회사의 기술은 표준에 상호 호환될 것으로 보고있다.
Wi-Fi Direc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Wi-Fi 부품들은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수적이다. 일부 구형 Wi-Fi 부품들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근래 출시된 기기들은 펌웨어 업데이트로 Wi-Fi Direct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Apple도 Wi-Fi Direct에 합의하고 iPhone과 iPod Touch 등에 이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Apple Insider를 통해 나왔다. 현재 Bluetooth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고 있지만 Wi-Fi로 단일화한다면 더 다양한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중반 이후 시장에서 선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는데, Wi-Fi Direct 제품이 나오면 모바일 기기 사이의 파일 전송이나 네트워크 기능이 한층 더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 사이에 Bluetooth도 어떠한 변신을 시도할지 지켜봐야할 것이다.
Wi-Fi Direct는 Bluetooth 진영에는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