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의 대표적인 칼럼니스트 이규태 선생 25일 향년 73세로 별세한 그는 조선일보에 연재되는 가장 유명하며 가장 오랫동안 글을 써 온 분이다. 개인적으로 이규태 선생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그의 글은 읽을때마다, 아! 하는 탄식이 나올 정도로 지식을 살 찌우는 글들이 대부분이었다. 이규태 칼럼을 가지고 학교 수업을 할 정도의 박식한 정보와 지식에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경우가 많았다. 돌아가실 것을 예감하고 마지막호를 연재한 그의 글을 읽으니, 가슴 한구석이 허전한 느낌이 든다. http://www.chosun.com/editorials/news/200602/200602220467.html 훌륭한 글은 글쓴이를 늘 기억하게 한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여러가지를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반드시 갖춰야할 것이 있다. 바로.... '오리발' 자신의 입으로 말하고도 말 안했다고 하고, 기억이 안난다고 하고 자신의 말을 왜곡했다고 엄한 사람을 고소하겠다고 하고, 잠시 숨어 버린다. 그리고 다시 어느날 다시 나타나서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살아간다. 우리가 국회의원들이 하는 저런 행동을 얼마나 자주 겪어왔던가? 경험상 이번 일도 예전과 같이 돌아가고 있다. 좀 있으면 잔잔해 진다. 입이 있다고 아무 말이나 하라고 뽑아준거 아니다. 자신의 지지자가 당신의 그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이기를 진정 바라는가? 그냥 만족하기 위해 배설한 말이 아닌가? 배설 그 이상인가? 그 말은 친한 친구들과 술이나 잔뜩 마시고, 웃으면서 농을 하면서 해도, 듣는 친구에게 핀잔 받을만한 ..
* SIP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정한 호 제어 프로토콜(Call Control Protocol) 표준. 패킷 네트워크상의 애플리케이션단의 시그널링 프로토콜.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의 업그레이드 된 프로토콜. 유저 에이전트(UA), SIP 프록시 서버, SIP 레지스트라 서버, SIP 리다이렉트 서버 로 구성. SIP 레지스트라 서버는 DB나 Domain상의 모든 UA 정보를 보관하는 서버이며, SIP 프록시 서버는 UA에서 요청하는 세션을 수락, 응답하는 UA의 주소정보를 SIP 레지스트라 서버에 질의하는 서버이다. SIP 리다이렉트 서버는 다른 도메인에서 요청하는 SIP 세션 요청에 대해 자기 도메인 내의 ..
갈등은 늘 선택을 강요한다. 갈등의 출발은 선택에 있다. 현명한 선택을 하고 싶다. 갈등의 결과는 현명해야 한다.
일요일 산 컴퓨터 책상이 문제가 있다고 앞서서 글을 올렸다. 문제는 만 하루만에 해결이 되었다. 우선 수고하신 B&Q Home 담당자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내가 집에 없었던 관계로 자세한 사항은 알 수 없었으나 아이 엄마의 말로는 젊은 분들이 아주 친절하고 열심히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하셨다고 한다. 새로 교환받았다. -.-V 오후 7시 10분쯤 B&Q Home 담당자로부터 전화 연락이 왔다. 담당자는 계속해서 미안하다는 말을 전했다. 물론 문제가 발생했을때 이미 화가 약간 나 있긴했지만 미안하다는 말에는 어쩔 수 없었다. 일단 문제 해결을 위해 제품 교환이나 환불을 바라는지부터 물었다. 원래 실용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산 물건이라 하자 부분의 해결만을 원했다. 그러자 그냥 부품을 보내주는 정도로..
Podcasting 콘텐츠가 나날이 늘어날 것은 분명하다. iTunes 사용자가 늘수록, PMP 사용자가 늘어날 수록, 사용자들이 만들어 내는 UCC (User Creative Contents)는 늘어날 것이다. 블로그의 콘텐츠가 상업적인 상용 콘텐츠가 될 수 있는 것처럼, Podcasting 콘텐츠 역시 상용이 될 날도 오리라 생각한다. 자신이 만든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가 거래가 될 날은 아주 빠른 시기에 오리라 믿는다. 자... 그렇다면 이렇게 많아진 콘텐츠를 어찌 찾아야 할까? iTunes가 있어서 찾기 쉽다고 애플은 이야기 하지만, 이는 사용자가 자의적으로 제공해야 하며, 폐쇄적인 iTunes서비스를 이용해야만 가능한 것이다. 요즘 포털들은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앞다투어 발표하고 서비스하고 있다..
iPod는 애플컴퓨터사가 만든 PMP(Personal Media Player)의 이름이다. 주로 음악, 사진 등을 보여주며 기기에 따라 동영상을 보여 준다. 애플의 맥킨토시 이후 가장 대중적인 브랜드가 iPod일 것이다. 우린 흔히 이런류를 처음엔 MP3 Player라고 불렀고, 나중에 소리뿐만 아니라 화면이 생기면서 그림과 동영상을 볼 수 있는 기기를 접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PMP라고 부른다. 넓은 의미에서 이젠 PMP가 MP3P 보다는 대중적인 명사가 된 것 같다. 일반적으로 이제 PMP하면 MP3는 기본이고 액정화면에 그림과 동영상을 볼 수 있는 기기라고 인식한다. 그 대중화에 앞장선 기기가 바로 애플의 iPod 이다. 현재 iPod는 3가 종류가 있는데, 단순 MP3 기능만 가지고 있는 iPod ..
1. /etc/sysconfig/i18n을 수정한다. [수정전] LANG="ko_KR.UTF-8"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UTF-8: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수정후]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2. /etc/man.config 파일의 109라인을 수정한다. [수정전] PAGER /usr/bin/less -is [수정후] PAGER /usr/bin/less -isr 3. /etc/profile.d/less.sh 파일을 수정한다. [수정전] [ -x /usr/bi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