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겨울에 방영되었던 MBC 주말특별기획 드라마 '환상의 커플'이라는 드라마의 붐을 타고 유명해진 경남 남해의 관광지가 있다. 독일마을이라고 알려진 이곳을 찾아보았다. (출처 : 독일마을 노이하우스 홈페이지) 남해군은 몇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해의 본섬인 남해도가 가장 크다. 그리고 남해도의 동쪽인 삼동면 물건리 동천마을 일대에 대지 3만평 정도에 남해군에서 30억원을 지원하여 독일교포들을 위한 택지를 분양한 곳이 독일마을이다. 이곳엔 1960년에서 1975년까지 독일로 광부와 간호사로 국가를 위해 먼 타국으로 일을 나갔던 교포들이 다시 돌아와서 우리나라에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국가와 경남 남해군에서 택지를 분양한 독일교포 정착마을이다. 이곳을 찾기 위해서는 사천IC를 거쳐 삼천포를 ..
(삼천포항에서 노산공원을 바라본 모습) 여전히 그들은 사천보다는 삼천포라 불리길 원한다. 이제는 경상남도 사천시의 일부가 된 항구가 있는 조그만 남해의 도시.(통합 사천시는 경남 시군 20개 중에서 15번째 크기다) 여름에 전어 축제가 열리고 쥐포가 유명한, 조용하지만 살아있는 도시가 바로 삼천포다. 1995년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통합되어 사천시에 편입 되었으며, 용현면에 신청사가 들어서기전까지 시청(옛 삼천포시청)이 있던 곳이 삼천포 시내다. 인구 6만의 그래도 제법 규모가 있는 경남의 도시이다. 홈플러스가 벌룡동에 들어서 있으니 제법 사람들이 산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지리적으로는 서쪽으로 남해군과 서북쪽으로는 하동, 북쪽으로는 진주, 동쪽으로는 고성군과 접해있다. 선구동, 동서금동, 벌룡..
여름휴가철이다. 서울에 있을때는 휴가를 주로 강원도로 그것도 늦여름이나 초가을에 찾았었다. 휴가는 잠시동안의 리프레쉬가 중요하기 때문에 나는 복잡하고 사람이 많은 곳을 싫어하는 편이다. 특히나 한여름의 휴가는 잘못가면 스트레스 받고 돌아오는 짜증휴가가 될 가능성이 높아서 여름휴가를 산이나 바다로 잘 가지 않는 편이었다. 대구로 내려와서 맞는 첫 여름휴가를 가족과 함께 1박 2일로 삼천포(사천), 고성, 남해로 다녀왔다. 출발은 금요일 오전 7시에 했으며, 다시 집으로 온 것은 토요일 오후 4시였다. 대략 대구에서 삼천포까지는 150Km의 거리다. 아침 일찍 출발해서인지 첫 목적지인 삼천포까지는 2시간이 조금 넘는 시간밖에 안걸렸다. 근데 돌아올 때는 고속도로가 한산해서 1시간 30분만에 집에 도착했다. ..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동 (신)팔달시장에는 일명 닭냉면이라고 불리는 냉면집이 하나 유명하다. 방문해보면 가게 앞에 상호도 없고, 덜렁 현수막만 하나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평양 냉면 전문점' 연일 더운날씨 탓인지 점심시간엔 많은 사람들이 이 집을 찾고 있었다. 4인 테이블이 9개, 홀보다 더 커보이는 주방을 가지고 있으며, 식당 자체는 가건물에 위치해있다. 주방엔 커다란 업소용 냉장고가 몇개 서 있고 한쪽에는 면발을 뽑는 종업원의 손길이 바쁘다. 연신 주문한 냉면을 홀에 있는 테이블로 옮기는 아주머니의 손길 역시 바쁘다. 거의 넘칠 정도의 수준의 육수와 한 사람의 장정이 먹고도 남을 분량의 냉면을 넣어준다. 계란과 깨가 고명으로 올라가 있고, 양념장(다데기)가 보기만 해도 얼큰해 보인다. 오이가 간..
대구 중구 공평동 노보텔(옛 밀리오레) 오른쪽 골목에는 1969년 문을 연39년 업력의 유명한 냉면집이 하나 있다. 대구사람들에게 '강산면옥'만큼 유명한 집이 '부산안면옥'이다. 특히 나이드신 분들은 이 가게를 잘 알고 계실 것이다. 가게로 들어가는 길은 흡사 가정집으로 들어가는 뜰같다. 왼쪽엔 게시판 같은 시설이 있고, 오른쪽엔 대기 손님을 위한 간이 의자가 마련되어 있다. 손님이 많다는 뜻이다. 게시판은 제대로 활용되고 있다. 손으로 직접쓴 글씨와 사진을 오려붙여 만든 순수 손제작물이다. 각종 상식들과 재밋거리들이 적혀 있다. 옛날 분위기 물씬 풍기는데, 이 게시판은 기다리는 손님들이 덜 지루하라고 만든 것으로 보인다. 가게 입구쪽엔 방탄막을 한 것같은 시설이 하나 있는데, 이 가게의 자랑인 육수를 ..
예전엔 김천 직지사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상가쪽에 주차를 하고 큰 나무들이 서 있는 길을 따라 걸어올라가야 했다. 주변엔 노점상들이 산나물과 칡즙, 고사리 등을 판매하고 있었다. 약 12년만에 직지사를 찾았던 나는 이곳에 공원이 생긴지 몰랐다. 상가쪽에서 직지사로 가는 길의 오른쪽이 현대식 공원으로 바뀌어 있었다. 이름은 '직지문화공원'이다. 공원에 대해 찾아보니 2001년 12월에 김천시가 직지사 입구 주변땅을 매입하여 공원을 조성하기 시작하여 2004년 4월 21일 사람들에게 개방했다고 되어 있었다. 입장료가 없는 무료공원이다. 상가에서 직지사로 향하는 길목 입구에 갓모양의 건물이 서 있다. 일부는 관리사무실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화장실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이다. 우리의 전통 갓 모양을 갖춘 건축물이다...
'동국제일가람황악산문' 직지사(直指寺)는 행정구역으로 김천시에 위치한 사찰이다. 신라에 불교가 정식으로 인정받기 전인 418년 눌지왕 2년에 아도화상에 의해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도리사(桃李寺)에 이어 지어졌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불교가람이다. (신라는 법흥왕때인 527년에 불교를 정식 종교로 인정했다.) 영조 55년(1776)에 급고자(汲古子)가 정리한 김산직지사중기(金山直指寺重記)의 기록을 바탕으로 신라 눌지왕때 지어진 사찰로 인정되고 있다. 사찰의 이름인 직지(直指)는 여러 뜻으로 설들이 소개되어 있지만,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는 선종(禪宗)의 가르침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참선을 통해 사람의 마음을 바로보면 그것의 바로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는다'라는 글귀로..
짬뽕마니아라면, 대구에 온다면 반드시 들러봐야할 곳이 두 곳이 있는데, 달서구 송현동의 '가야성'과 남구 이천동의 '진흥반점'이다. 2007/04/18 - [맛집 방문기] - 짬뽕예찬 - 가야성 가야성의 짬뽕이 깔끔한 매운맛과 쫄깃한 면발을 자랑한다면, 진흥반점은 국물로 승부를 건다. 돼지사골 육수의 걸쭉하고 매콤한 맛은 이 집만의 전매특허다. 진흥반점은 재료 떨어지면 손님 안받는 짬뽕집으로도 유명하다. 오전 11시에 가게를 열어서, 오후 5시까지 손님을 받긴 하지만, 5시 전에 그날 준비한 재료가 떨어지면 더이상 주문과 손님을 받지 않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진흥반점의 주방은 손님이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홀에 약 24명 정도가 앉을 수 있는 테이블과 방 두개에 12명이 앉을 수 있는 테이블..
한 여름의 상징처럼 불리는 해수욕장은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이다.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여름이 가장 빨리 오는 도시는 부산이고, 해운대는 여름의 상징이기도 하다. 해운대해수욕장의 중심에 위치한 관광안내소는 왼쪽으로 미포 회단지, 오른쪽으로 웨스틴조선 호텔까지가 해수욕장의 폭이다. 이른 봄이어서인지 바닷가엔 사람들이 많지 않았다. 겨울이 가고 따뜻한 햇살이 비추고 있었지만, 바람은 아직도 겨울의 찬기운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갈매기와 그 보다 숫자가 적은 비둘기들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에 옹기종기 모여들었다. 바닷가를 찾는 사람들이 먹을 거리를 던져주기 때문에 이를 기다리는 것이다. 사람들이 좀 더 많이 모이면 주로 새우깡을 던져주는 일이 많고, 이를 재주넘기하듯 받아먹는 갈매기들이 많다. 녀석들은 먹이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용리 산 10번지. 대구 달성군 현풍면에서 가까운 비슬산자연휴양림의 주소이다. 비슬산자연유양림 홈페이지 : http://www.dalseong.daegu.kr/bisulsan 자연휴양림이라 하면 말그대로 숲과 맑은 공기, 깨끗한 물 등의 자연에서 휴식을 위한 목적으로 최소한의 생활시설을 제공하는 휴양공간을 말한다. 비슬산은 높이 1083.6미터의 대견봉을 최고봉으로 하여 그 아래로 월광봉, 조화봉의 몇 개의 봉우리로 구성된 산이다. 특히 기암괴석과 참꽃군락지로 유명한데, 대구 분지의 남쪽에서 가장 높은 산이기도 하다. 비슬산자연휴양림은 겨울 1월 2월 동안 얼음동산을 운영하고 있어서, 주말에 아이들과 함께 놀러갈 수 있는 좋은 장소이기도 하다. 차를 가지고 현풍 IC를 빠져나와서..
벌써 일주일이 지났다. 지난 주말에 바르셀로나에서 돌아왔는데, 한 주가 금방 또 지나가 버렸다. 벌써부터 따뜻한 바르셀로나 날씨가 그립다. 이번 출장에서는 다른 해외 출장과 달리 먹는 문제에서 비교적 편했고, 풍성했으며, 또한 저렴했다. 그리고 어쩌면 해외출장에서 이런 방법(직접 요리해서 먹기)도 괜찮겠구나 하는 생각마저 가지게 되었다. 해외에 업무차 출장(특히 전시회 참가)때면, 으례 호텔에서 지내고 호텔식 식사에 가끔 한국식당을 찾고, 그 지역의 요리를 한 두가지 맛보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겠으나, 이번엔 일정도 빡빡하고(오전 9시부터 7시까지 전시) 심적, 물적 여유도 없는 출장이어서 미리 준비해간 한국 음식과 현지에서 조달한 몇가지로 준비했더니 먹는 문제는 거의 완벽하게 해결되었다. 바르셀로나만 두..
이번 바르셀로나 출장을 통해 스페인에 대해 여러가지를 알게 되었지만, 그 중에서 스페인의 국적 항공사인 이베리아(Iberia)의 서비스 마인드에 대해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출장을 나섰던 9일(토)날 대한항공을 통해 마드리드에 도착했다. 바르셀로나로의 직항이 없기 때문에 스페인의 경우 마드리드를 경유해 가야한다. 아니면 인접 국가 공항인 암스테르담이나 파리, 프랑크푸르트 등을 경유해야 한다. 마드리드 공항에서의 에피소드는 앞선 포스트에서도 소개했었다. 그때는 항공사가 아닌 공항 서비스의 문제점을 지적했는데, 전반적으로 임시직 이민자 직원들의 서비스 마인드 부족이 그 원인이었다. 2008/02/10 - [킬크로그] - 바르셀로나 도착과 몇몇 에피소드들 마드리드에서 국적 항공사인 이베리아를 이용하여 바르..
오늘은 행사 3일째날이었다. 어제와 그저께보다는 많은 방문자들이 한국관 부스를 찾았다. 그건 방문자들이 대형 벤더들의 전시관을 둘러보고 남는 시간에 천천히 중소업체를 찾아다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또한 오늘부터는 행사를 둘러본 많은 방문자들이 자국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날이기도 하다. 그래서 전시 마치는 시간에 밖을 나서니 어제보다 사람들이 많이 줄었다는 것을 금방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에스빠냐역은 늘 행사 참가자들로 붐볐다. L1 에스빠냐역에서 탄 대부분의 사람들은 MWC 행사 관계자들이다. 오늘은 어제보다 지하철을 타는 사람이 적었지만, 그래도 러시아워이다보니 서울 지하철처럼 가득차서 탔다. 약 두정거장을 갔을 때 일이다. 출입구쪽에 사람이 가득 있었기 때문에 그 역에서는 사람이 들어올 수 없..
사실 이번 출장에는 한국음식점을 찾을 예정이 없었다. 작년 출장에 이어 올해도 아파트를 숙소로 정했기 때문에 사먹는 음식보다는 직접 해먹는 음식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제 포스팅에도 밝힌 바 있지만, 함께 출장 온 부사장님께서 준비하신 완전소중 부식가방이 항공사의 문제로 아직까지 우리 손에 도착하지 않아서 차질이 생겼다. 아, 원망스러운 이베리아 항공... 오늘은 컴플레인마저 씹어버리는 괴력을 발휘했다. 오늘은 올 줄 알았는데, 아직도 잃어버린 부식가방을 찾지 못했다는 암담한 소식을 듣게 되었다. 완전 급반전 좌절모드로 전환되었다. 행사장 체크를 마치고 이제 우리 부식가방이 도착할 줄 알고 기다리다 지쳐 전화했더니, 모르겠다고 생까는 항공사 직원의 뻔뻔한 답변 앞에서 우리는 중대한 결심을 할 수 ..
바르셀로나를 여행하는 사람 중에 이곳을 찾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반드시 가보아야할 1순위로 꼽는 곳이 바로 람블라스 거리다. 까탈루냐 광장과 지하철 역을 나서서 바다(지중해)가 보이는 약 1Km의 길이 나있는 거리가 바로 람블라스 거리이다. 이곳을 지나는 사람의 대부분이 관광객일정도로 이곳의 인기는 아주 높다. 아주 옛날 이 거리에는 지중해로 물이 흐르는 천(川)이었다고 한다. 19세기 들어서 이곳은 인도와 차도가 있는 거리로 바뀌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까탈루냐 광장에서 지중해로 가는 길목 입구에 있는 '카날레탄스'샘물을 마시면 바르셀로나에 매료되어 이곳에 살게된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곳에 계속 살고 싶은 사람은 없는지 샘물은 별로 인기가 없다. :) 지중해로 가는 ..
설연휴가 이어지는 토요일 오전 8시 30분 KTX를 타고 서울로 올라갔다. 월요일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obile World Congress 2008에 전시행사를 나가기 때문이다. 행여나 공항가는 리무진이 귀경차량이나 기상상태 때문에 늦어지는 것을 염려하여 KTX를 탔다. 중간 천안 쯤에서는 펑펑 눈이 내리는 것도 보았는데, 서울에 도착하니 눈은 오지 않고 그저 뭔가도 내릴 듯한 날이 시작되고 있었다. 이어 서울역(서부역)쪽에서 인천공항 가는 리무진을 타고 1시간 동안 달려 공항에 도착했다. 이번엔 마드리드를 경유하여 바르셀로나로 들어갈 예정이어서 먼저 마드리드행 비행기를 타게 되었다. 마드리드행 비행기는 생각보다 작은 비행기였으며, 좌석이 남을 정도로 승객이 가득 차지도 않았다. 그러나, ..
속초 노학동에 가면 척산온천장이라는 곳이 있다. 이곳은 남한에서 최북단에 위치한 온천지구이다. 1930년대 일제시대때 땅에서 뜨거운 물이 솟아올라서 온천이 발견된 지역이다. 본격적인 온천 개발은 1965년에 시작하여 1969년 12월 30일에 지하 250미터 지점에서 44.8도씨의 알카리성 온천수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그 후에도 근처 몇몇 지역에서 온천개발이 지속되어 1977년까지 총 6개 온천공이 개발되었다. 척산온천의 효능은 약알칼리성으로 구성된 약 10여종의 광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병이나 눈병, 신경통 등의 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척산온천 지구의 숙박 및 온천시설은 척산온천장과 척산온천 휴양촌 두 곳이다. 그 중에 우리 가족은 이번 설악산 단풍 구경에 척산온천장에 묵었..
입맛이 변한건지 요즘 음식들이 그런건지 온통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들 뿐이다. 국밥도 예외는 아니어서, 어딜가나 국밥하면 뻘건 국물에 매콤하고 얼큰해야 국밥으로 인정을 받는다. 국밥의 이미지가 이미 그렇게 고정되어 있기에 오히려 그렇지 않은 국밥이 이상해 보일 수 있겠다. 대구 앞산순환로변에는 수많은 음식집들이 자리잡고 있다. 다양한 식당들이 성업을 하고 있다. 특히 순환로와 등산로 입구가 만나는 길목엔 해장국집들이 많이 있다. 대구 앞산에 해장국집하면 아마도 선지국으로 유명한 대덕식당을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등산으로 허기진 배를 뜨끈한 선지와 함께 밥 한공기로 달래주면 앞산으로 등산할만 하다는 생각이 들곤한다. 그러나, 대덕식당 바로 옆에 꽤나 괜찮은 한우국밥집이 있다는 것을 잘 모르는 모양이다..
'프라하의 연인'이라는 드라마에도 나왔다는 한국음식점 한국관(Korea House)에 다녀왔다. 지하철역 I.P. Pavlopa(이뻬 빠블로빠)역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다. 지하철역에서나 박물관이 있는 바츨라프 광장에서도 그리 멀지 않다. 해외에서 한국음식점을 찾았을 때의 반가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한국관은 한국음식과 일식을 겸해서 제공하고 있다. 아직은 한국음식만으로는 유럽시장에 파고들기가 힘든 모양이다. 프라하 시내를 택시로 이동할 때 가장 많이 보인 아시아 음식점은 중국음식점이었다. 중국 특유의 붉은 색 음식점들은 시내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중국음식점엔 한국음식이나 일본음식을 하지 않는다. 해외에 나가 있으면 한국음식점에 현지인들이 드나드는 곳은 성공한 음식점이라고 앞서 독일 출장 때에 포스트..
프라하를 여행할때 반드시 만나게 되는 구시청사(Old Town Hall)의 천문시계는 매시 정각마다 간단한 퍼포먼스로 여행객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1분도 안되는 잠깐동안의 퍼포먼스를 보기 위해 정각만 가까워지면 시계근처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처음보는 사람들은 놀라움과 아주 짧은 퍼포먼스시간 때문에 아쉬움의 소리를 지른다. 시계는 매시 정각이 되면 '사도들의 행진'이라는 제목의 퍼포먼스가 시작된다. 시계의 왼쪽에 있는 해골이 줄을 당기면 시계 위의 닭이 울고, 그러면 양쪽 창문이 열리고 그 안에 예수의 12사도의 상(狀)들이 돌아간다. Prague Astronomical Clock또는 Prague Orloj(프라그 오를로이)로 불리는 이 시계는 구시가 광장에 있는 구시청사 남쪽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